Rhythm Study
- Summary of the article 'Introduction to Meter and Metric Dissonance' by R.Cohn(1999) -
1. Time points?
시간의 위치. 박이 떨어지는 점을 공간에 나타낸 것.
2. Time interval?
Time point X와 Y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Y-X로 구할 수 있다.
3. Time span?
X와 Y의 범위.
4. What's the Pulse?
일정한 거리를 가지는 Time point들의 집합. 이러한 일정한 거리를 주기성(periodicity, Kbebs는 Cardinality)라고 한다.
5. What's the meter?
관계있는 두 펄스의 짝. 두 개나 그 이상의 펄스가 포함관계를 이루는 것이다. meter는 악센트를 고려하지 않는다.
6. Pulse의 주기성을 나타내는 방법은?
펄스의 주기성 = y:x or y/x (y=fater, x=slower)
7. Metric hierarchy?
- 펄스가 복합비의 관계일 때 중간 펄스가 있다고 추론할 수 있으며, 비율이 소수라면 두 펄스는 인접관계에 있다. 예) Z/X=6 이라면, ‘6’은 복합수 이므로 두 펄스 사이에는 중간 펄스가 존재한다.
- 두 펄스가 포함 관계가 아니라면 metric dissonance를 이룬다.
8. Metric dissonance
두 펄스가 포함관계를 형성하지 않을 때 이를 Metric dissonance라고 부른다.
9. Displacement Dissonance
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두 펄스중 하나가 다른 펄스로부터 공통 음가에 의해서 옮겨진 것. 이러한 Metric dissonance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두 펄스 모두와 포함관계를 가지는 더 빠른 펄스가 필요하다. 그래야 두 펄스가 어떠한 음정 간격으로 Metric dissonance을 이루는지 알 수 있다. Metric dissonance을 표현하는 수식은 Dn+m(n은 Z/Y의 비율, m은 두 펄스의 이동비율 Y2-Y1)
10. Grouping dissonance
두 펄스의 주기성은 뚜렷하나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비정수 비율로 연관된다. 표기 방법은 두 펄스를 포함하는 빠른 펄스 Z의 경우, 최대공약수 gcd(y2, y1)로 표기한다. 또한 두펄스 모두에게 포함관계를 형성하는 느린 펄스 X는 최대공배수 G y2/y1 이다. 이때 느린 펄스 X는 프레이즈와 관계를 갖기도 한다.
11. Formatted Dissonance
Direct Dissonance는 두 펄스가 동시에 소리난다. 위에서 설명한 모든 Dissonance가 이러하다. 하지만 Indirect Dissonance는 불협 펄스가 순차적(successively)으로 들릴 때 나타난다.
by Jeongdae Lee
'Rhy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cent Rhythmic Research in North American Music Theory - Justin London (0) | 2013.09.27 |
---|